현대오토에버, 지난해 영업이익 1천424억원…영업이익 48% ↑

매출 2조7,545 억원, 전년比 33%↑…SW 개발·테스트·운영 전 단계 통합 품질 서비스 제공 스마트팩토리·물류·가상검증플랫폼·테스트/검증·모빌리티 기술 분야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2023-01-31     황병우 기자
현대오토에버

현대오토에버는 전자공시를 통해 지난해 매출액 2조7천545억원, 영업이익 1천424억원을 기록한 2022년 실적을 발표했다고 31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33%, 영업이익은 48% 증가했다.

사업부문별 실적을 보면, 2022년 SI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9% 증가한 9천604 억원으로 집계됐다. ITO 사업 매출은 24.9% 늘어 1조2천940억원을 기록했다. 차량 소프트웨어 부문은 5천1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72.9% 증가했다.

이번 2022년 실적에는 완성차 산업의 공급망 회복과 달러화의 강세가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는게 현대오토에버의 설명이다. 

또한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힘입어 스마트팩토리 구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고사양화 및 커넥티비티 서비스 증가, 북미 서비스 강화를 위한 CCS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매출이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지난해 현대오토에버가 추진한 효율적인 업무방식 정착, 비핵심 사업정리 등 지속적인 수익성 강화 활동도 호실적의 요인이 됐다"고 전했다.

한편, 현대오토에버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현대오토에버는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관리와 인증에 도움을 줄 차량소프트웨어 통합개발환경 플랫폼과 제어기·도로환경을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해 낸 가상검증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차량 소프트웨어 모든 영역에 대한 검증 사업을 준비한다. 

소프트웨어 개발·테스트·운영 전 단계의 품질 서비스 시장 선도가 목표다. 이와 함께 엔터프라이즈 IT 사업 영역에서는 장애 대응과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를 위해 업무 연속성 계획(BCP) 체계 개선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현대오토에버는 외부의 공격으로 인한 IT서비스 장애를 사전 예방하고 끊임없이 비즈니스를 이어갈 수 있도록 그룹 내 통합 보안 운영 서비스의 적용을 확대하며, 글로벌 보안강화를 위해 엔드포인트(Endpoint) 위협탐지 솔루션을 확대 적용한다.

또한 장애 대응 및 예방 체계를 개선하고 IT 건강도 체크와 주요 시스템 품질 진단을 고객사에 전개한다. 서비스 장애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테스트 전문 센터를 운영하여 프로젝트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품질을 점검하는 등 BCP 체계의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현대오토에버는 올해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신성장 동력 발굴을 목표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가상검증플랫폼, 테스트/검증 영역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협업 강화를 추진하며 모빌리티 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외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