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협회, 신임 전무에 오홍주 전 금감원 보험감독자문관 선임
손보협회, 신임 전무에 오홍주 전 금감원 보험감독자문관 선임
  • 임영빈 기자
  • 승인 2024.06.28 10:40
  • 댓글 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7월 1일부터 임기 시작

손해보험협회가 오홍주 전 금융감독원 보험감독자문관을 신임 전무로 선임했다고 28일 밝혔다. 오홍주 신임 전무의 임기는 2024년 7월 1일부터다.

오 신임 전무는 1965년생으로 금성고등학교(1984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1989년)를 졸업한 뒤, 성균관대학교 법학 석사(2006년)를 획득했다.

오홍주 손해보험협회 신임 전무 (사진=손해보험협회)
오홍주 손해보험협회 신임 전무 (사진=손해보험협회)

오 전무는 1991년 보험감독원에 입사한 이후에 금융감독원으로 적을 옮겨 보험감독국 건전경영팀장(2007년), 보험감독서비스국 검사1팀장(2009년), 금융투자감독국 부국장(2011년), 금융민원조정실장(2014년 4월), 손해보험검사국장(2015년 2월), 생명보험검사국장(2016년 2월), 보험감리국장(2018년 1월), 금융소비자보호총괄국장(2019년 1월), 보험감독자문관(2020녀 3월) 등을 역임했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5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4-06-29 00:51:25
없습니다. 또한 일제 잔재 공립 중.고교들이, 구한말에 세워진 한국의 민족학교들보다 좋다고 주장하는것도 적국 잔재 일본 왜구학교로서는, 아무 법적 타당성이 없고,명분도 없습니다.

@한편, 또다른 법리적 다툼이 있습니다. 미군정이 실행한 적산재산 처리는 합법적인 조치입니다...
https://blog.naver.com/macmaca/223424093319

윤진한 2024-06-29 00:50:20
큐슈(九州) 및 시코구(四國)와 함께 연합국이 결정하는 여러 작은 섬들에 한정된다고 규정했습니다.

해방후 미군정당시 다시 불러들인 일본 총독부 근무 잔재들이나, 기타 기관출신들이 문교부(학무국)에 근무하면서, 유독 교육분야의 왜곡이 심했습니다. 주권없는 일본잔재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를 국립대로 하였는데, 경성제대(경성대)를 서울대로 명칭변경하여, 성균관 앞에 쓰는 방법이나, 서울대를 국립대로 한다는 미군정법률은, 연합국 국가원수들이 모여 발표한 상위법인 포츠담선언의 상위법률에 따라서, 한국영토에 주권.학벌.자격이 없는 형태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서울대뒤에 붙여넣은 더 자격없는 신생 대학들이, 국립대 서울대를 가장 앞에 두고, 주권.자격.학벌없이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에 대항해 온것은, 인정해 줄 수

윤진한 2024-06-29 00:49:30
대학. 국사 성균관 자격), Royal 서강대(교황윤허의 가톨릭계 귀족대학) 뒤의 주권.자격.학벌없는 패전국 일본 잔재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뒤에서, 연세,고려,이화등 사립대들이, 대중언론.입시지에서 강세로 이어져 온 나라입니다.패전국이자 미군정의 적국, 일본 왜구잔재 서울대등이,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없이, 대중언론.입시지를 통하여,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에, 주권.학벌없이 항거.약탈하는 형태로 이어져 온 나라입니다.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을 받아들여 항복한 일본이기 때문에, 포츠담선언의 하위법인 미군정령과의 불일치가 있으면, 상위법 우선의 원칙에 따라야 합니다. 포츠담선언 제8항에서는 「카이로 선언」의 조항은 이행되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일본의 주권은 혼슈(本州), 홋카이도(北海道),

윤진한 2024-06-29 00:48:46
국가원수들이 모여 발표한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이 국제법으로 상위법 역할을 하고, 미군정령은 하위법이라, 상위법 우선의 원칙으로,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왔음. 조선.대한제국에는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으로 성균관 하나밖에 없던 나라였음.

@한국은 미군정을 거쳐서, 왕립대학이자.대한제국 皇대학 성균관의 정통승계 성균관대부터, Royal대면서 사립대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정부 출범이후, 한국에 교황윤허로 설립된, 예수회 산하의 가톨릭계 귀족대학 서강대도 사립대입니다. 또한 비신분제 대학들로 4년제 대학이 된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도 미군정기에 대중언론에서 자리잡은 사립대학들입니다. 미국이 사립대들이 강한 나라라, 한국도 Royal 성균관대(양반대

윤진한 2024-06-29 00:48:03
해당분야에서, 더욱 정진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대학문제는 아주 중요합니다. 필자는 성균관대 출신입니다. 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 승계 성균관대는 국내외에서 6백년 넘는 역사를 행정법.국제관습법으로 인정받고 있음. 한국 최고(最古, 最高)대학 성균관대. 宮(泮宮,學宮, 太學)의 별칭가진 성균관의 교육기능을 가진 성균관대임. Royal성균관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양반 성대 다음 가톨릭계 귀족대학으로,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패전국 일본 잔재이자, 불교 Monkey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 없어왔음. 이 뒤로 서울대를 극복하지 못해온 전국 각지역 대학들. 해방당시 미군정부터, 상위법은 승전국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