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덕 대표 "사이버 보안 전문기업 넘어 AI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으로 도약"
사이버 보안에 강점을 보유한 AI(인공지능)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 S2W가 기업 맞춤형 생성형 AI 플랫폼 S-AIP(S2W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를 공개하고 국내외 기업 및 공공 보안시장 공략을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S2W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S-AIP' 쇼케이스를 열고 AI와 빅데이터, 사이버 보안 전문성을 기반으로 'AI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선언하고, 내년 IPO로 상장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국내외 진출을 위한 사업 확장에 나선다고 덧붙였다.
서상덕 S2W 대표는 "S2W는 국내 최고 AI 전문가와 다크웹 및 CTI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기업으로, 우수한 AI·빅데이터·보안 융합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국내외 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며 "'S-AIP'는 사이버 보안을 넘어 전체 산업의 혁신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S2W를 '아시아의 팔란티어'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S2W는 수년간 축적해 온 비정형 민감정보 데이터 처리 기술과 도메인 특화 AI 언어모델을 구축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AI 플랫폼을 구축했다. S-AIP는 기업 내 존재하는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중앙화해 사용자의 질문에 가장 근접한 사실 기반 답변과 데이터를 생성, 제공해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인다.
S2W는 다크웹 데이터를 학습한 AI 전용 모델 다크버트(DarkBERT)를 개발한 바 있다. 다크버트는 다크웹에서 수집한 텍스트의 마스크 언어 모델링(MLM)으로 RoBERTa 모델을 추가로 학습시켰다.
또한, 존재하는 데이터를 조직 내부에서만 활용할 수 있도록 언어 모델을 구축해 기존 LLM의 문제점이었던 할루시네이션(환각 현상) 해결, 데이터 유출 취약점을 최소화했다고 S2W는 설명했다.
S-AIP는 기업 보안 수준에 맞춘 아키텍처 및 데이터 보안 기술을 활용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업용 sLLM 구축과 사용을 지원한다. S-AIP는 기업 보안 환경에 맞춘 안전한 LLM 아키텍처로 설계되며, 데이터 유출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내부 전용 서버에 구축된다. 사내 IT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직급별로 접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보안을 지원한다.
도메인에 최적화된 학습과 튜닝을 지원하며, 생성된 답변을 확인하고 검증해 할루시네이션을 해결한다. 외부 수집 DB와 별도 구축·운영하는 실시간 최신정보를 참조해 정확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내놓을 수 있다.
제조, 보안, 소프트웨어, 금융, 지주회사, 통신사, 교육, 건설, 유통, 이커머스 등 다양한 산업에 적합한 도메인과 기업 내부 데이터를 같이 학습해 특정 기업 맞춤형으로 설계가 가능하다.
정진우 S2W 이사는 "기업에서 LLM을 활용하고 싶다고 해도 LLM은 너무 무거워 특정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sLLM이 필요하다"며 "S2W는 다크웹에서 특화 언어모델을 개발했으며 이러한 기술은 유통, 금융, 제조, 보안 분야에서 충분히 적용 가능하며 이미 특정 분야에서는 S·AIP 구축 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S2W는 AI, 빅데이터, 보안기술을 융합한 S·AIP를 통해 AI 인텔리전스 기업으로 나아가겠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AI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내년에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예정이다.
서상덕 대표는 "S2W는 다크웹, 암호화폐 자체 분석 기술을 보유한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으로, 인터폴 파트너이며, 마이크로소프트 글로벌 AI 스타트업 선정, 세계경제포럼(WEF) 세계 100대 기술 선도 기업 선정 등 글로벌 기술 역량을 인정받아왔다"고 전했다.
이어서 "미국법인을 비롯,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대만 등 세계 여러 국가에 진출해 해외 시장 개척 성과도 거두고 있다"며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최고 수준의 보안 기술을 탑재한 S-AIP로 모든 기업·기관의 안전한 성장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IPO도 성공시켜 퀀텀점프를 이뤄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