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9개 기차역에서 '짐 배송 서비스'도 본격 시행
"이동시간 단축, 삶의 질 제고 등 다양한 철도 서비스 발굴할 것"
"이동시간 단축, 삶의 질 제고 등 다양한 철도 서비스 발굴할 것"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는 국민이 철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과 연계한 철도서비스로 이용객의 편의를 증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날부터 코레일 모바일 예매 앱(코레일톡)에서 전국 75개 코레일 주차장의 주차요금을 사전정산할 수 있게 된다.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승차권 도착시간에 맞춰 주차시간을 자동 계산하여 주차요금을 미리 결제할 수 있도록 코레일 앱 기능을 개선했다.
주차요금결제는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코레일 마일리지로도 결제할 수 있으며, 열차 이용할인을 비롯해 경차, 친환경차, 공공할인(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적용 여부 등을 자동으로 반영해 요금결제를 할수 있도록 했다.
또한, 지난해 시범운영을 마친 짐 배송 서비스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올해 1월부터 순차적으로 부산, 강릉, 여수엑스포, 신경주, 광명역에서 짐 배송 서비스를 상설화했고, 이날부터 순천, 목포역에서, 12월에는 서울, 용산역까지 확대하여 짐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특히, 코레일에서는 모바일 예매 앱(코레일톡)에서 짐 배송 신청-예약-결제까지 할 수 있도록 올해 말까지 시스템을 개선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짐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박지홍 철도국장은 "철도와 일상생활 서비스를 접목해 움직이는 '나'(수요자)를 중심으로, 이동시간을 줄이고,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철도교통서비스를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