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KB '서울형 안심전세은행 도입 업무협약'에 따른 전세은행 플랫폼 구축사업도 소개
건물분양(토지임대부)주택, 노후임대재정비 등 SH 사업 안정적 수행 위한 금융모델 제안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B국민은행이 임차형 공공주택(기존주택 전세임대주택, 보증금 지원형 장기안심주택)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SH공사는 한국부동산분석학회, KB국민은행과 함께 20일 영등포구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임차형 공공주택의 활성화 방안과 리츠를 활용한 재원마련 모색'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임차형 공공주택의 임차인 편의제고 및 임대인, 중개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제도 지원 방안과 공공기관의 수익사업 및 비수익사업의 조화로운 시행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와 관련 이영민 SH도시연구원 기술연구부장이 발표자로 나서, SH공사와 KB국민은행이 지난 6월 7일 맺은 '서울형 안심전세은행 플랫폼 구축 업무협약'에 따라 추진하고 있는 임차형 공공주택 전용 플랫폼 개발 사업을 소개했다.
'서울형 안심전세은행 플랫폼'은 KB부동산 플랫폼(홈페이지 및 모바일앱) 내 'SH전용관'을 통해 자격 요건에 맞는 임차형 공공주택 매물을 지도에서 검색하고, 대출가능금액, 월 부담금 등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르면 올해 하반기 내로 시범서비스를 제공을 목표로 양사가 개발 중이다.
이어 SH공사 주요 사업인 건물분양주택(토지임대부 분양주택), 노후 공공임대 재정비사업, 한강사업, 주택매입사업 등의 추진 재원으로 연기금을 활용한 '모자(母-子)리츠' 등 금융모델 구상안을 제안했다.
발표가 끝난 뒤에는 학계, 연구계, 산업계 등 관련 전문가들이 임차형 공공주택 활성화 및 리츠를 활용한 재원마련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이어졌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SH와 KB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안심전세은행은 공공과 민간이 임대차 시장 안정을 위해 협력하는 의미있는 사업"이라며 "건물분양주택 등 SH의 중요한 사업들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재원마련 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