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과 연계하여 세계적인 CCS 기술력 확보
한국석유공사는 말레이시아 셰퍼드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프로젝트에 참여를 공식적으로 밝히며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한 국내외 기업들과 업무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한국석유공사는 한화, 에어리퀴드코리아(Air Liquide Korea), 쉘(Shell) 등과 함께 셰퍼드 프로젝트에 새로 참여해 국가 간 탄소저감 사업인 한국-말레이시아 간 CCS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해당 셰퍼드 프로젝트는 작년 8월부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롯데케미칼, SK 에너지, SK 어스온,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Petronas) 등이 공동으로 참여해 추진해온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허브(hub) 터미널에 집결시킨 후, 전용 운송선으로 이를 이송해 말레이시아 내 고갈 가스전 또는 대염수층에 저장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아시아 국가 간 CCS 허브 프로젝트로,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단계 구성되는 밸류체인(Value Chain)의 전주기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석유공사는 강조했다.
온실가스감축의 핵심기술로 주목받는 CCS 사업의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에 국내외 기업들의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향후 산업 성장세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한국석유공사는 약 40년간 축적한 기술력과 국내외 유가스전 및 비축기지 운영경험을 살려 셰퍼드 CCS 프로젝트의 성공적 결과 도출에 십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공사는 국내 참여 컨소시엄 기술력 및 전문성 강화에 대한 기여는 물론, 공사 사업영역을 해외 CCS사업으로 확대해 세계 CCS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는 "셰퍼드 프로젝트 뿐 아니라, 공사가 산업부·해수부와 함께 진행하고 있는 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 및 '광개토(廣開土) 프로젝트' 등은 우리나라 CCS 산업부문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