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발전·해상풍력 등 신재생 확대되는 동남아·유럽시장 진출 타진
LS ELECTRIC(일렉트릭)이 한국전력공사와 초전도체를 활용해 전력계통에 발생하는 고장전류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초전도 전류제한기 실증시험장 구축을 완료하고 상용화를 위한 실증시험을 시작한다.
LS일렉트릭과 한전은 지난 14일 전라북도 고창군 소재 한전 서고창 변전소에서 양사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2.9kV/2천A 초전도 전류제한기(SFCL,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시험장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SFCL은 초전도체를 활용해 평소에는 전력계통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다가 단락(합선)이나 낙뢰 등 계통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1~2ms(밀리 초) 이내에 고장전류를 감소시키고, 수 밀리 초(ms) 이내에 고장전류의 크기를 정상전류 수준으로 전환해 사고전류로 인한 전력설비 손상을 최소화하는 설비다.
우리나라는 계통 선로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서로 연계돼 있어 고장전류가 발생하면 대규모 정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분산전원 확대로 이와 같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보호 신뢰성을 고도화하기 위해 고장전류를 제한하는 장치가 필수적이며, SFCL은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유일한 솔루션으로 평가받는다고 LS일렉트릭은 설명했다.
LS일렉트릭과 한전은 이 같은 시장 요구와 트렌드에 발맞춰 신재생, 분산전원을 포함하는 계통연계용 MV(Medium Voltage)급 대용량 초전도 전류제한기를 개발, 한전의 서고창 변전소에 설치해 내달부터 시운전을 거쳐 실계통 접속 및 실증운영에 돌입한다.
LS일렉트릭과 한전의 SFCL은 배전급 대용량이면서도 외형은 기존 제품의 30% 크기로 개발됐다. 또한 핵심 부품이 단위 모듈화돼 있어 정격에 맞게 설계하지 않고도 어떤 계통에나 맞춤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기존 계통에 신재생이 연계 운행될 경우 필요한 용량만큼만 모듈화된 전류제한기를 추가하면 된다. 이를 통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면서 교체 비용 역시 크게 줄일 수 있어 경제성도 확보했다고 LS일렉트릭은 덧붙였다.
이번에 개발된 SFCL은 실계통은 물론 신재생/분산전원 연계로 인한 고장전류 관리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어, 실증 이후 상용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국내 시장 상용화는 물론 해외 초전도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이미 양수발전, 해상풍력 등 신재생 연계 전력계통이 확대되고 있는 동남아시아, 유럽 시장에 대한 진출도 구체화되고 있으며, 실제로 베트남, 아일랜드 등의 국가와 SFCL 도입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