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아낀 금융사들, 지난해 핀다와 월평균 1.69%p 우대금리 설계
대출 중개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 핀다가 2022년 한 해 동안 낮은 수수료 구조를 통해 중소저축은행의 시장 진출을 돕는 등 금융기관과의 상생경영 실천에 앞장섰다고 5일 밝혔다.
2022년 한 해 동안 핀다에서 가장 많은 대출을 일으킨 저축은행 상위 5개사의 수수료를 살펴보니, 오프라인 대출모집인과 비교했을 때 1개 저축은행 당 월평균 1억 1천779만 원의 수수료를 아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핀다는 강조했다.
고객을 모으기 위해서 오프라인 지점과 모집인 운영 비용 및 마케팅에 쓰이는 각종 판관비용 등을 획기적으로 아낄 수 있던 것이라는게 핀다의 설명이다.
또한 다른 대출비교 플랫폼의 수수료와 비교했을 경우에도 핀다가 가장 저렴한 수수료를 수취했다. 고정 수수료율 구조를 갖춘 타 플랫폼과 핀다 수수료를 비교했을 때, 위 5개 저축은행사의 월평균 수수료는 약 2천548만원이나 차이가 났다.
핀다 관계자는 "핀다는 금리 연동형 수수료 체계를 갖추고 있어, 금융회사가 고객에 제공하는 금리를 낮추면 자동적으로 대출모집 수수료가 내려가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핀다 수수료 체계를 통해 비용을 아낀 63개 제휴 금융사 중 매월 5곳 이상이 우대금리 이벤트에 참여했으며, 이렇게 만들어낸 우대금리는 월평균 1.69%p에 달했다.
우대금리를 받기 위해 신용카드의 실적을 충족하거나 자동이체를 설정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핀다 앱 서비스만 쓰면 우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성한 것이라고 핀다는 덧붙였다.
특히 고객 유치가 어려웠던 중소저축은행들의 핀다 앱 서비스를 통한 대출 취급액 규모가 지난 한 해 동안에만 64% 늘어났다. 이는 10대 대형 저축은행의 규모 성장세인 41% 보다 높은 수치다. 오로지 상품성만으로 고객에게 선택을 받을 수 있었던 결과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핀다는 수많은 금융사의 다양한 대출상품 중 고객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제휴 금융사와의 동반성장을 꾀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수수료 체계를 설계하여 운영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금융사와 핀다가 고객을 위해서 함께 만들어낼 수 있는 상생경영 시스템을 다각도로 구축하고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