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협회 “보험 중도해지 말고 보험료할인 꼼꼼히”
생보협회 “보험 중도해지 말고 보험료할인 꼼꼼히”
  • 이유담 기자
  • 승인 2017.12.26 15: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보계약 해지 5년 만에 1.5배 증가…가계경제 악화, 시중금리상승 영향
최근 경기침체와 가계경제 악화 등으로 인해 생명보험 계약의 해지 건수가 매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생명보험 계약 해지 건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 생명보험 계약 해지 건수는 모두 659만3148건으로 2011년보다 54.1% 증가했다.
 
전체 해지 중에 고객이 자발적으로 해지한 건수는 438만9812건으로 효력상실 건수(220만3336건)보다 2배가량 많았다. 2011년 대비 증가율을 보면 효력 상실이 77.2%로 자발적 해지(44.7%)보다 더 많았다.
 
생명보험협회는 생명보험계약 중도해지를 지양하고 보험료 할인방법을 찾을 것을 권고했다.
 
▲ 지난해 생명보험 계약해지 건수는 659만3000건으로 2011년 427만8000건보다 1.5배 이상 증가했다. (사진=생명보험협회 보도자료 캡처)
 
생명보험은 미래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런 사고와 사망 또는 미래 소득부족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상품이다. 
 
최근 인구고령화와 각종 질병․상해위험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 등으로 생명보험계약의 중요성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중도해지도 늘고 있다. 
 
생명보험은 사람의 생사, 질병‧상해를 담보하는 장기 금융상품이라는 점에서 보험가입시 초기 사업비용이 많이 소요돼 중도해지할 경우 해약환급금이 없거나 납입한 보험료에 비해 보험금이 크게 적을 수 있다. 
 
또 중도해지 이후 무보험 상태에서 가장의 소득상실, 가족의 건강악화 등 위험이 발생할 경우 가계경제가 심각하게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게 문제다. 
 
동일 보험에 재가입하더라도 생명보험은 초기사업비가 다시 발생하고, 연령증가나 신규질병 등으로 보험료가 오르거나 보험가입이 거절될 수도 있다.
 
생명보험 가입은 신중히 결정하되 한번 가입한 보험은 끝까지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보험해약이 증가하는 것은 향후 정상적으로 보험금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한다”며 “보험상품 은 해지할 경우에 손실이 크기 때문에 은행 예금보다 보험상품을 해약하는 게 훨씬 불리하다”고 설명했다.
 
▲ 시중금리가 늘면서 생명보험 계약해지율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생명보헙협회 보도자료 캡처)
 
시중금리 상승도 생명보험 계약해지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보험연구원은 지난 10월 ‘2018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발표를 통해 “시중금리 상승시 생명보험의 계약해지도 비례해 증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가계대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서의 금리상승은 대출이자 부담을 늘리고 가계경제를 악화시킨다. 이는 가계의 보험료 부담을 키워 보험계약 해지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한편 미국 금리인상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향후 국내 시장금리가 지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보험류 부담으로 인한 보험해지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생보협회는 “보험소비자는 보험계약 체결시부터 각 보험상품별로 보험료 할인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보장기간 중 보험료 부담을 느낄 시에는 보험계약을 바로 해지하기보다 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생명보험업계는 최근 장기금융상품 중도해지가 늘어나는 추세에 대응해 다양한 서비스 혜택 및 제도운용을 실시하고 있다.
 
보험계약 체결시 비흡연, 혈압, 체격조건 등에 따른 ‘건강할인’, 자녀수가 많을수록 보험료 할인을 더 받을 수 있는 ‘다자녀 할인’ 그리고 부모님 건강을 챙기는 ‘효도할인’ 등이다.
 
보험기간 중 보험료 납입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유니버셜’ 기능, 보험료를 납입하지 않고도 보험계약을 계속 유지하는 ‘감액완납’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생명보험협회는 “생명보험계약 관련 업계가 다양한 서비스 혜택과 제도운용으로 소비자의 보험료 부담 완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